카테고리 없음

깃허브 프로젝트 draft 와 issue

에밀오구 2024. 12. 9. 21:01

깃허브 프로젝트에 칸반을 채우던 중 팀원분께서 issue와 draft의 차이를 물으셨고 이에 대해 정확히 설명드린것같지 않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원래 이렇게 배우고 익히는 것 아니겠어요?

 

먼저 정리하자면  일반적으로 정확히 할당받는 업무는 issue 로 만들고,  추가 예정인 업무, 하지만 배정받을지 모호한 업무는 draft 로 만들라고 하네요!

  • Create a draft: 임시 저장용 작업 항목.
  • Create new issue: 바로 새로운 작업을 작성하여 프로젝트와 리포지토리에 기록.
  • Add item from repository: 기존 작업(issue 또는 PR)을 보드에 추가.

Create a draft

임시적으로 작성한 아이템.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 두고 나중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계획이 있을 때 사용됩니다.

 사용 

- 아직 작업이 구체화 되지 않았으나 아이디어를 적어두고 싶을 때

- 다른 팀원들과 검토 이야기후 정식 작업( issue)로 전환하려는 경우 

특징

정식 이슈로 전환가능합니다. -> 오른쪽마우스 눌러 convert to issue

Create new Issue

새로운 작업 항목을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작업의 버그 수정, 개선사항 , 질문 등 모든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

- 작업의 세부 내용을 명확히 알고 있고 정식 업무일때.

Add item from repository 

이미 리포지토리에 존재하는 작업 항목(issue 또는 pull request)을 프로젝트 보드에 추가하는 기능입니다.

사용

기존 만들어진 작업 항목을 현재 프로젝트와 연동하고 싶을 때.

 

 

기타 내용

  • Labels : 해당 작업의 성격
  • Project : 위에서 만든 Projects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ex) Week1, Week2, Week3
  • Assigneers : 해당 작업의 담당자 (즉, 이슈의 작업자이다)
  • Milestone : 프로젝트가 도달해야 하는 목표 지점을 정해두는 것이다.

라벨 종류 labels

  • bug:예: "페이지가 로드되지 않음", "버튼 클릭 시 오류 발생"
  • 버그를 나타내는 레이블. 소프트웨어의 문제점이나 오류를 추적할 때 사용합니다.
  • enhancement:예: "UI 디자인 개선", "검색 기능 추가"
  • 기존 기능 개선 또는 새로운 기능 추가 요청.
  • help wanted:예: "문서화가 필요합니다", "알고리즘 최적화 도움 요청"
  • 특정 작업에 대해 도움이나 기여를 요청할 때 사용.
  • good first issue:예: "README 업데이트", "CSS 스타일링 수정"
  • 프로젝트에 처음 기여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간단한 작업.
  • question:예: "API 설계 방식에 대한 의견 요청"
  • 이슈가 질문이나 논의가 필요한 경우 사용.
  • duplicate:예: 이전에 보고된 문제를 다시 등록한 경우
  • 동일하거나 중복된 이슈를 나타냅니다.